목록전체 글 (125)
SAP_ABAP_F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Kq3L2/btq0bwyLaFk/D1Kj5N7cWyZ49LkKGIS4Bk/img.png)
G/L Account Master Record 계정과목 마스터 개여 Chart of Account: 계정과목표 (COA) 하나의 COA를 여러개의 Cocd에 공유해서 사용 할 수 있다. 같은 계정과목 코드를 여러개의 회사에서 동일한 번호 체계로 사용 가능 -> COA : Cocd = 1: n관계 T-Code FSP0- In chart of acct 일반적인 정보를 등록하는 화면 FSS0 - IN Company Code 각 CompanyCode Dependant한 정보를 등록하느 화면 FS00 Centrally Vendor Master 구매처 , Customer Master SAP HANA 버전에서는 BP에서 통합 생성 관리가 가능하다. Business Parterfh 로 하나의 Master로 통합 관리가..
- DD02V Generated Table for View - TADIR Directory of Repository Objects - TRDIR System Table TRDIR - TRDIRT TFDIR의 프로그램에 대한 제목텍스트 - TFDIR Function 모듈 - ENLFDIR Function 모둘의 추가 속성 - TRDIRE 프로그램 속성 - REPOSRC 프로그램 Create by~ - DD02L SAP Tables - DD03L 테이블 필드 - DD04T R/3 DD Data Element 텍스트 - DD01T R/3 DD 도메인 텍스트 - DD02T R/3 SAP TABLE TEXTS - DD07L R/3 DD 도메인값 - DD07T DD 도메인 고정값에 대한 텍스트 - DD02V - 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EXwmC/btqVddK6JCB/q8bFaQQlUAM75m7FytLYX1/img.png)
1. 거래의 식별 회계처리 대상이 되느 거래와 대상이 아닌 거래를 식별하여야 한다. 회계상 거래는 자산 부채 자본의 증가 혹은 감소를 가져와야 하는 것으로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거래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품의 주문 차입을 위한 부동산에 대한 담보설정 등은 일상생활에서는 거래라 하지만 주문이나 담보서정으로 자산 부채 자본의 증감이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 > 회계상 거래가 아니다. 2. 복식부기 장부에 단순히 거래가 발생하는 날짜 순서대로 나열하는 간편장부와 달리 계정과목을 통해 차/대 변으로 이중기록 거래의 8요소 복식부기 예제) 1. 7./1 토지를 10,000을 현금으로 구입 하였다 -> 자산 증가 / 현금 감소 차) 토지 10,000 대) 현금 10,000 2. 상품을 10..
* 이익 = 수익 - 비용 > 당기 순이익 일정기간 동안 기업의 경영성과 기업의 일상적인 영업활동이나 부수적인 경영활동 등 을 통하여 수익/비용 등 손익을 발생시킨다. 이를 손익계산서 / 경영성과 보고서 일정기간 동안 기업의 경영성과 2. 수익(Revenues) 기업의 주요 경영활동으로서 재화의 판매 용역의 제공 등의 대가로 발생하는 자산의 유입/ 부채의 감소액을 의미 기업이 일정기간 동안 고객에게 인도한 재화 또는 제공한 용역의 판매가액 - 매출액 : 주된 영업활동인 제품 상품 용역 - 영업외 수익 이자수익, 배당금 수익 임대료 수익 단기매매처분이익 매도가능증권 처분이익 유형자산처분이익 전기오류수정이익 3. 비용(Expense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uiXL6/btqUYgVcULV/QI1CkXg5Uqg4vA1OyGehn0/img.png)
- Defalut Values 1. user default Setting - user id 별로 디폴드로 세팅 Parameter id -> system -> user profile -> own data edition Option - set default screen templates -> screen layout 을 마음대로 컨트롤 ex) f-02 -> Edition Option if documents only in local curr click box hidden - change screen layout user master record - langu - date format - printers 2. sys default Setting - 시스템이 자동으로 제시하는 디폴트 세팅 - posting da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RH84e/btqT8IS7Nfm/hYHN0pFloUBjKntyLLBpv1/img.png)
차변 과 대변의 동일해야 된다. Document Type -> 전표 유형 Client level에서 생성 전표헤더,전표 렝지를 컨트롤 -아무 전표유형 더블 클릭 계정유형 허용 AA AR AP 구분 전표입력중 필수사항 - 체크박스 체크 시 이 전표유형이 올 시 체크된건 필수 체크하게됨 Numer range - 77이라는 numberrnage가 시스템에서 알아서 전표를 체번 한다. - 전표유형 Standard Naming Standard Posting Keys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매출채권이란? 매출채권이란 일반적인 상거래에서 발생하는 외상매출금/받을 어음 매입채무이란 일반적인 상거래에서 발생하는 외상매입금/지급어음 모든 채권을 100% 회수하기 쉬운일이 아니므로 대손충당금을 설정 채권 채무 판매자 매입자 매출채권 매입채무 외상매출금 외상매입금 받을 어음 지금어음 미수금 미지급금 판매자 입장에서의 회계처리 외상 매출금 회계처리 차변 대변 외상 매출금 매출 매출금 받을 시 차변 대변 현금 / 현금성 자산 외상 매출금 외상 매입금 회계처리 차변 대변 상품 외상매입금 매입금 clear 차변 대변 외상매입금 현금 받을 어음-> 회사의 주된 영업활동인 상품이나 제품을 판매하거나 용역을 제공하고 발생한 채권어음, 어음으로 대금결제가 이루어질때 외상매출금과 구별하여 사용 하는 계정 받을 어음 ..
재무상태표의 구조 자산 = 부채(유동부채 + 비유동부채) + 자본(자본금 + 자본잉영금 + 자본조정 + 기타포괄손익 누계액 + 이익잉여금) 자산 = 유동자산(당좌 + 재고) + 비유동자산( 투자 + 유형 + 무형 +기타비유동자산) 유동자산 = 1년 또는 정상엽업주기 이내에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 당좌자산: 즉시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 재고자산: 생산 및 판매과정을 거쳐 현금을 회수하여야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 비유동자산 = 유동자산 반대 투자자산: 투자수익의 목적으로 보유, 주된영업과 직접 관련이 없는 자산 유형자산: 영업수익을 목적으로 구체적 형태가 있는 자산(건물 기계,토지) 무형자산: 영업수익을 목적으로 구체적 형태가 없는 자산(지적재산권,소프트웨어) 기타비유동자산: 비유동자산이나 투자목적,사용목적도 아..
복식부기 기업의 회계는 복식부기를 가정하여 거래를 기록한다. 회사의 재산에 영향으 미치는 모든 거래를 파악하여 재산이 변화한 원인과 결과를 동시에 기록함 차/대 변으로 이중으로 기록 복식부기의 작성원리 복식부기 원리에 따라 차변에는 자산의 증가, 부채의 감소,자본의 감소의 비용의 발생을 작성 대변에는 자산의 감소 부채의 증가 자본의 증가 수익의 발생으로 작성 분개 -발생한 거래를 장부에 기록하는 방법으로 회개처리 한다.와 동일 복식부기 원리에 따라 어느 계정과목에 해당한 거래인지 그 계정의 차변 또는 대변의 어느 쪽인지 얼마인지 기록 * 자산.부채,자본은 재무상태표에 기록 비용과 수익은 손익계산서에 기록 분개의 Process 거래의 분석 -> 차/대 결정 -> 계정과목 결정 -> 금액결정 -> 분개의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