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P_ABAP_FI

FI_DAY1 본문

SAP_FI_Basic/SAP_FI_Basic

FI_DAY1

abapjun 2023. 2. 20. 20:47
728x90
반응형

재무 보고?

기업의 재무 상태 경영성과 현금흐름 자금 변동 등에 대한 재무 정보를 제공하는 것

발생주의 회계는 회계거래가 발생한 시점에서 기록하므로 현금의 이동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

수익과 비용을 합리적으로 대응시켜 거래가 발생한 기간의 경영성과를 제대로 나타내고 미래의 현금흐름을 예측하는 것을 용이

 

발생(Accrual) -> 수익이나 비용을 인식할 수 있는 거래가 일어낫지만 이에 대해 현금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이연(Deferral)-> 이미 현금의 수입/지출이 이루어져있지만 이에 대한 수익이나 비용의 인식은 미래 시점으로 연기되어야한다.

 

*발생주의 회계에 의하여 회계거래를 처리하는 계정에는 선급비용 미지급 비용 선수 수익 미수수익등이 있다.

 

회계거래

기업의 자산 부채 자본에 영향을 주어 회계장부에 기록되는 모든 거래

3요소 -> 자산 = 부채 + 자본

자산이란 기업이 소유한 유형 또는 무형의 재화나 채권 등 화폐가치로 나타낼 수 있는 것

-유동자산 1년 이내에 현금화하거나 판매 목적으로 소유하는 자산

 - 당좌자산: 현금 및 현금성 자산/ 단기금융상품, 유가증권,매출채권,미수금, 미수수익,선급급,선급비용

 - 재고자산: 상품 제품 반제품 재공품 원재료 저장품

-비유동자산/고정 자산 1년이상 머무르는 자산

 - 투자자산 매도가능금융자산 만기보유금융자산 관계기업투자주식 장기대여금 투자부동산

 - 유형자산 토지 건물 기계장치 비품 차량운반구 

 - 무형자산 산업재산권 저작원 광업권 어업권 개발비 임차권리금

 - 기타비유동자산 이연법인세자산 보증금 장기매출채권 장기미수금

좌변           :  우변

자산           : 부채, 자본

차변(Debit) = 대변(Credit) 

 

부채

- 유동부채: 외상매입금 지급어음 단기차입금 단기미지급금 선수금 선수수익 예쑤금 미지급비용 미지급법인세

- 비유동부채: 사채 장기차입금 장기매입채무 징기미지급금 순확정급여부채 이연법인세부채 기타충당부채

 

 

재무회계

투자자 채권자 주주 정부기관 등 다양한 기업 외부 이해관계자의 경제적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느 것에 목적

 

관리회계

기업의 경영자나 주간관리자와 같은 내부 정보 이용자의 합리적 의사결정에 유용한 회계정보를 제공

내부 정보이용자는 이를 통해 기업의 수익성 분석을 실시

 

거래의 8요소

차변 대변
자산의 증가 자산의 감소
부채의 감소 부채의 증가
자본의 감소 자본의 증가
비용의 발생 수익의 발생

모든 회계 거래는 차변의 자산/비용 대변의 부채/자본/수익이 결합됨으로써 발생

 

SAP Module

1.재무 회계 FI

전표입력 계정 조회 결산 처리 등 기업의 일반회계 프로세스부터 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위한 기능

- 총계정원장 회계

-보조원장 회계

2.관리회계 CO

간접비 관리 원가 회계 수익성 분석 등을 통해 기업 내부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재공 내부 관리 기능

- 간접비 회계

- 제품원가 회계

- 손익분석

3.자금관리 TR ( Treasury)

자금수지관리 금융상품의 운용관리 펌뱅킹 예금 및 어음관리 등 현금의 유동성 관리

- 현금관리 및 예측

- 자금관리

- 현금관리

4.판매 및 영업관리 SD( Sales and Distribition)

고객 기준정보 관리 판매 오더 관리 출하 및 운송 관리 매출 채권 확정 기능

5.자재 관리 MM( Materials Management)

구매요청 발주처리 자재의 입출고에 관련된 기능과 매입채무 확정 등의 프로세스 지원 

SD 나 PP와 연계된 기능

6. 생산관리 PP( Product Planning)

자재 BOM 공정 작업장 등 생산에 관련된 기준정보관리 생산계획 수립 생산 실행 및 실적관리 등의 프로세스 지원하는 모듈

7. 품질관리 QM Quality Management

품질계획 품질 검사 공정관리 등 품질에 관련된 프로세스 지원하는 모듈 자재를 구매하거나 생산 계획을 수립하거나 제품을 유통하는 과정 등 제조 사이클 전반에서 mm pp sd 연계된 기능

8. 설비 관리 PM Plant Managemet

설비 기준정보 관리 설비 고장 이력 분석 예방정비 등을 통하여 업무 생산성 향상

 

전표와 전기

전표(Docuement)

회계거래를 기록할 목적으로 거래내용을 증빙 할 수 있게 작성

총계정원장(GL General Ledger) 에 전기 되는 송장/ 세금계산서 등 모든 회계 거래의 기록

전기(Posting)

입력된 전표를 해당 계정에 옮겨 기록하는 것을 의미 전기 키로 계정 유형과 차대변 등을 구분

 

Header Document Date 전표 증빙일 세금계산서 영수증 송장 등 증빙 서류상의 날짜가 입력되는 필드

Postring Date 전표가 전기되는 전기일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재무회게 구성

 

수익성 분석 -> 경영 계획 -> 생상계획 -> 자재 소요량 계획 - 자재 구매 - 제품생산 - 제품 판매 -> 수익성 분석 -> 

(co)                   (co)                (pp)              (pp)                       (mm)              pp            sd               co

 

1.관리 회계 차년도 경영계획_ 차년도에 회사 경영을 어떻게 할 것인지 계획하는 것으로 소비자의 소비트렌드 전년도 실적 등 고려

2. co 에서 경영게획 토대로 생산관리 공장의 생산 라인 별로 얼만큼 제품 생산 계획

3. 생산 계획을 수립했다면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수량 파악하는 기능 MRP 를 이용하여 생산에 필요한 원/부자재들의 재고 수량과 필요한 원 부자재를 파악

4. 구매가 필요한 원 부자재 mm자재관리 통해 구매

5. 생산계획을 토대로 제품이 생산되면 판매관리sd 판매 및 영업관리를 통해 판매

6. co에서는 위 내용을 통해 발생된 data를 가공 수익성 분석 경영계획 판매 실적 분석

7 fi에서는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의 증감 발생 등의 수시로 발생하는 활동을 관리

 

경영계획 -> 생산 계획 -> 생산 -> 판매 -> 수익성 분석

 

재무 회계FI 에 반영되는 구매관리 MM 프로세스

 

MM FI
Purchase Requistion 구매요청 x
구매 오더처리 x
구매한 자재입고 자산 / (GR.IR) 
공급업체 송장 수령 GR.IR  / 채무
공급업체로 지급 채무 / 은행계정

Goods Receipt / Invoice Receipt(GR/IR) 입고 및 송장 검증

자재가 입고 되는 시점과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시점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회계 기표 임시계정 사용

매월 시행하는 회계 마감시 세금계싼서는 공급업체로 발행되었지만 입고가 이루어지지 않았을때 G/IR 미착자산 표시

 

입고단계 

입고 시점은 실제로 주문한 물품이 입고 되고 주문한내역과 일치하는지 INVOICE를 검증

대금을 지급하지 않는 상태지만 물품의 입고 -> 자산이 증가 -> 회계 전표

자산 / (GR,IR)

 

IR 매입세금계산서 확인

물품 또는 서비스를 사거나 제공받았을 경우 부가가치세를 징수하였다는 거래사슬을 증명하는 문서인 매입세금계산서를 확이 매입에 대한 대금을 지급할 의무 발생

GR,IR / / 매입채무

 

지급단계 

물품 구매에 대한 대가를 직브하여 매입 채무를 소거하는 단계 

매입채무 / 은행 계정

 

판매 및 영업관리

 

1. 판매 주문 단계

2. 제품 출고 Delivery 자산 증가 제품 감소 ( 매출원가 /  제품 )

3. 대금청구 Billing 외상 매출금 / 매출액

4. 수금 단계 Payment 은행계정 / 외상 매출금

 

FI 구성요소

채권관리 AR

기업의 사업 목적을 위한 경상적 영업활동인 재화의 판매 및 용역의 제공 행위를 했을 때 대가를 받겠ㄴ다는 일종의 약송 = 받아야 할돈 

고객관리 고객과 관련된 모든 트랜잭션이 기록 GL 계정 외상매출금 받을 어음 외상으로 제품을 판매하여 매출 채권이 발생 시 채권을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객과 거래한 내역

채무관리 AP 

채권과 반대로 재화의 구매 및 용역을 제공받는 등의 행위가 발생 -> 대가를 지급할 의무

공급업체 관리 G/L 계정 외상매입급 지급어음

은행회계 Bank Accounting

거래 은행에 대한 계좌의 출납을 기록 대표적인 사례로 계좌 이체와 같은 은행과 관련된 비즈니스 내역을 관리

 

현금 출납장 회계

고정 자산회계

기업회계상의 자산은 자본의 구체적인 형태로 유형 무형 자산을 의미


재고 회계

세무 회계

발생 회계

-> GL에서 관리 된다

 

Leger 원장 계산 목적으로 거래의 내역을 계정별로 기록하는 장부

조정계정(Reconciliation Account)

재무회계로 반영되는 회계와 관련된 사항으로 고객 공급업체 자산 발생하는 비즈니스에 사용되는 gl게정을 해당 필드에 사전등록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높임

 

 

SAP 조직 구조

 

Company Code : SAP FI에서 법적인 조직구조 대차대조표(Balance Sheet), 손익계산서(Profit & loss Account)  생성

하나의 회사에 대하여 여러가지 사항을 고려하여 하나 혹은 여러 개의 cocd로 생성이 가능합니다.

- 대차 대조표

- 손익 계산서

 

Business Area: 회사 내에서 대외 발표용의 재무재표가 아니라 회사 내부적인 레포팅을 작성하기 위한 조직구조

하나의 Business Area에 여러 Company Code에 연결 가능 일반적으로 1:1로 매핑

최근에는 Busimss Area 대신 Profit Center를 대신 사용한다.

 

Profit Center: 손익 부서 코드, 코드로 비용이 집계되는 Cost Center와 유사한 면이 있지만 Cost Center는 비용을 취합하여 이를 원가에 투입하고하는 목적, ㅊ는 매출을 취합하여 이를 원가에 반영하고자 한다

내부관리 목적으로 부분적을 BS / PL의 산출 목적으로 최초 개발/ New G/L을 사용하면서 Business Area 기능을 대신하여 FI 모듈 내의 조직코드로 통합되어 사용

 

Segment 기존 Business Area,Business Area 보다 더 자유로운 레포팅을 위하여 신규로 추가된 조직구조

 

Char Of Accounts(CoA) : 회사에서 사용할 계정 과목의 모음으로 계정과목집 혹은 계정코드집이라고 표현,

하나의 시스템 내에 여러 개의 CoA를 생성 사용

계정코드는 보통 6~8 자리 정도로 사용 문자/숫자 유형에 따라서 자동으로 0이 추가

Cocd : CoA = 1 : 1 동일회사 / 동일 그룹인 경우에는 동일한 하나의 CoA 사용-> 회사 공통의 재무제표를 생성하기 쉬움

- Group Chart of Accounts: 다른 CoA를 사용하는 회사에 대하여 각각 회사마다 서로 다른 CoA를 사용 할 경우 각 계정코드마다 동일한 CoA를 연결 하여 그룹공통의 재무재표 생성

728x90
반응형

'SAP_FI_Basic > SAP_FI_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P_Bible_FI 정리1일차  (1) 2023.10.16
SAP_Overview_Document  (0) 2021.01.24
SAP_FI_Overview_Receivable-2  (0) 2021.01.15
SAP_FI_Overview_Receivable-1  (0) 2021.01.10
SAP_FI_Overview_Master Data in A/R  (0) 2021.01.05